본문 바로가기

새임방공지사항

뇌성마비

1. 뇌성마비의 정의

뇌성마비란 미성숙한 뇌에 생긴 결손이나 병변에 의해서 나타나는 자세이상으로 운동조절의 상실을 나타내는 증후군이다. 운동마비는 팔, 다리 뿐만 아니라 얼굴과 몸통에도 마비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뇌성마비는 유전되지 않으며 뇌의 병변이 진행되지 않으므로 비전행성이다.

2. 발생률

Phelps의 통계적 연구에 따르면 인구 10만명당 7명의 비율로 발생한다고 했고, 한편 Ingram은 영국에서 1,000명에 2명의 비율이라고 보고했다. 우리 나라에서도 1,000명에 1.5명 정도가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는데 1.5∼2.5명이 거의 통설로 되어 있다.

3. 뇌성마비의 분류

1) 근긴장성에 따른 분류
① 경직형(spastic type)
② 불수의 운동형, 무정위형(athetoid type)
athetosis with spastic type
athetosis with tonic spasm
choreoathetosis
pure athetosis
③ 운동실조형(ataxic type)
④ 저긴장형(hypotonic type)

2) 지절별 분류
① 사지마비 ② 삼지마비 ③ 편마비
④ 대마비 ⑤ 단마비 ⑥ 양지마비

4. 원 인

1) 산전, 임신 중 원인 (30%)
① 산모의 질병 - * 풍진, 바이러스성 질환 (특히 독일홍역 TORCH)
* 외상
* 고혈압, 심혈관 및 호흡성 질환
* 태반이상, 임신중독증, 대사성질환, 당뇨병 등
② 약물중독이나 독성 물질의 섭취
③ 선천적 기형 (예-소두증)
④ 다중임신

2) 출산시 원인 (60%)
① 미숙아 (1.5kg 이하)
② 조산아 (분만 예정일보다 2주 이상 먼저 출산하는 경우)
③ 과숙아 (분만 예정일보다 2주 이상 나중에 출산하는 경우)
④ 전치태반, 탯줄의 압박 등으로 인한 무산소증
⑤ 난산, 혈액형의 부적합 (RH형 ABO형)

3) 출생 후 원인 (10%)
① 사고, 외상 ② 뇌막염, 뇌염, 뇌수종, 뇌종양
③ 중독 ④ 저산소증, 허혈증, 출혈

5. 뇌성마비의 증상

몸의 운동을 조절할 수 없는 아주 심한 상태에서부터 경한 운동 장애만을 보이는 상태까지 있으며 춤생시부터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상당한 기간 동안 거의 이무 증상을 보이지 않을 수 있다.

1) 신체적 증상 - 젖을 빨기 어렵거나 근육 조절 능력이 약하거나 시각, 칭각 장애 등이 있거나 근위축 경련, 경기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발달이 지연된다.

2) 행동적 증상 - 잘 보채고 잘 놀래며 주의산만하고, 지능이 떨어지기도 한다.

6. 동반되는 장애

1) 언어장애 : 50-70%

2) 지능저하 : 50%에서 지능 저하, 그 중반이상이 IQ 7O이하, IQ 50이하인 경우는 약 24%가 된다. 그러나 뇌성마비아의 지능을 측정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일반검사에서는 어느정도의 언어능력이나 근육의 협동운동을 요구하는데 그것이 뇌성마비아의 능력의 한계를 넘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3) 시각장애 및 사시 : 20-60 %

4) 감각장애

5) 청력장애 : 5-8 %, 그 원인으로는 핵황달이 가장 관계가 깊다.

6) 경 기 : 약 35 %에서 경기가 일어난다.

7) 정서장애 : 간혹 정서장애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8) 치아 및 치주의 이상

9) 뼈, 관절이상, 관절구축이나 탈골

10) 반복적인 호흡기 감염

11) 행동장애

7. 진단 및 평가

조기 진단 및 평가(6개월 이전)와 조기치료가 가장 중요하다. 조기에 치료를 한 경우는 치료 효과가 매우 좋으나 발견이 늦어져서 치료가 늦어지면 치료 결과가 좋지 않다. 그러나 뇌성마비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이를 전문으로 하는 전문가가 아니면 매우 어렵다.

1) 아기의 발달 관찰
2) 신경학적 검사 (Primitive Reflex)
3) 자세 반응 검사

8. 치 료

현대 의학은 모든 질병을 하나 하나 정복하고 있으며 심지어는 암도 정복될 날이 멀지 않았다고 본다. 그러나 뇌성마비의 치료는 의학이 도전하는 최후의 목표가 될 것이다. 뇌성마미의 치료는 우선,

1) 정확한 진단과 평가에 의한 치료 목표의 설정

2) 부모의 교육을 통하여 병원에서의 치료와 집에서의 치료를 병행하어야 한다. 뇌성마비를 관리하기 위한 재활팀 구성은 재활의학 전문의, 각종 치료사(물리, 작업, 언어, 심리), 간호사, 보장구제작사, 사회복지사 및 특수교사로 이루어 진다. 이 팀은 서로 의논하고 도움을 주어서 뇌성마비 아동에게 최상의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보존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
* 신경 생리학적 치료
보이타 치료(Vojta)
보봐스 치료(Bobath)
N.D.T(Neuro Developmental Treatment)
* 물리 치료
* 작업 치료
* 언어 치료
* 심리 치료 및 상담
* 특수 교육
* 보장구의 활용

4) 약물 치료

5) 수술적 치료

* 근육 및 인대를 늘리는 수술
* 관절 유합술
* 말초 신경 절단술
* 척추 후궁 절제술 후에 후신경근의 선택적 절제를 하는 방법 등이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