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사랑 나눔

기형도/길 위에서 중얼거리다


우린 이제 그를 노래하련다…기형도 기리는 문단

다음달 7일 30주기 맞아
詩 전집 `길 위에서…`
88人 헌정시집도 나와



`가늘은 고드름 한 개 앉혀놓고 조그만 모빌처럼 흔들거리며….`

경기 광명시 기형도문학관 1층엔 기형도 시인(1960~1989)의 `겨울판화` 연작 7번째 작품인 `너무 큰 등받이 의자`가 검은 벽면에 흰 글씨로 새겨져 있다. 유고시집 `입 속의 검은 잎`(1989) 초판본과 시인의 만년필, 정장 슈트까지 정갈한 모습으로 진열돼 추모객들 발걸음을 맞는다. `모빌`처럼 흔들거리다 저곳으로 떠났지만 시가 읽힐 때면 그는 다시 몸을 입곤 했다.

3월 7일, 기형도 시인 30주기를 맞아 문학과지성사, 연세대, 기형도문학관이 여러 행사로 기형도 시인을 추모한다.
기형도 시전집 `길 위에서 중얼거리다`부터 눈에 띈다. 유고시집 `입 속의 검은 잎`에 미발표 시를 더해 97편을 단권으로 꿰맨 책이다. `길 위에서 중얼거리다`는 문장은 생전에 시인이 미리 염두에 뒀던 첫 시집 제목이어서 의미가 더 크다. `미안하지만 나는 이제 희망을 노래하련다`로 시작하는 `정거장에서의 충고`가 첫 시로 놓였다.

이광호 문학평론가는 "30년이라는 긴 세월은 기형도라는 이름을 잊게 만들기보다는 더 풍요롭게 만들었다. 지속되는 사랑은 새로 읽기와 다시 읽기를 멈추지 못하게 한다"며 시인을 추모했다.


함께 출간되는 기형도 트리뷰트(tribute·헌사) 시집 `어느 푸른 저녁`은 2000년대 이후 등단한 후배 시인 88명의 목소리를 모았다. 청춘 시절에 기형도 시를 읽으며 성장했다는 점에서 기형도 시의 유전자를 물려받은 `기형도 세대`라 할 만하다. 일러스트레이터 김유는 기형도 시인을 기리는 32쪽짜리 그림책 `전문가(Ein Expert)`를 낸다. 기형도 시 `전문가(專門家)`를 모티브로 삼은 책이다. `이사 온 그는 이상한 사람이었다…`로 시작하는 시 `전문가`는 유리, 석벽, 벽돌이란 세 오브제가 모이며 그로테스크한 골목을 연출한다.

연세대는 7일 오후 2시에 `기형도 시인 30주기 심포지엄`을 연다. 정명교 연세대 국문과 교수(정과리 문학평론가)가 `기형도 시의 문자적 계기와 그 상황적 의미`란 제목으로, 유성호 한양대 교수가 `기형도와 윤동주`란 제목으로 발표한다.

정 교수는 "기형도 시인이 불현듯 숨쉬기를 멈춘 지 30년이 흘렀다. 그의 시를 21세기 현실 안에 새롭게 모종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날 저녁 7시 홍대 인근에선 `기형도 30주기 낭독의 밤`이 열린다. 심보선·이병률·강성은·신용목·정한아·이상협 시인 등이 참석한다.

앞서 5일 저녁 7시 기형도문학관에선 추모 콘서트를 연다. 이문재·정한용 시인이 기형도 시를 낭송하고 소리꾼 장사익이 시인의 넋을 기린다. 10년 넘게 학내에서 `기형도 프로젝트`로 시인을 추모해온 운산고 학생들도 공연과 전시를 선보인다.

생이 짧아서인지, 그의 시는 더 또렷하게 기억된다. 1960년 태어나 현 광명시 소하동인 경기 시흥군에서 자란 그는 아버지가 뇌졸중으로 쓰러지고, 누이가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나는 등 결핍한 유년을 보냈다. 

1979년 연세대에 입학한 뒤 연세문학회 문우들과 백양로에서 시를 꿈꿨다.
1984년 중앙일보에 입사해 정치·문화·편집부 기자로 일했고 198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돼 문단에 나왔다. 1989년 3월 7일 종로 한 심야극장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사인은 뇌졸중.

그해 5월 빛을 본 첫 시집 `입 속의 검은 잎`은 유고시집이 됐다. 현재까지 89쇄를 찍었고, 올해 30만부를 넘겼다.

[김유태 기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