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미국임상종양학회 참가자들이 제약사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애틀랜타=이진한 기자 |
《2006년 미국임상종양학회가 미국 애틀랜타에서 전 세계 2만5000여 명의 종양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2일부터 7일까지 열렸다. 이번 학회의 최대 이슈는 1개의 항암제가 2곳 이상의 다양한 경로로 암세포를 공격하는 ‘다중표적항암제’. 한 가지 경로로 암세포를 공격하는 기존 항암제보다 업그레이드된 것이다. 특히 이번에는 그동안 제대로 된 치료제가 없었던 말기 신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중표적항암제가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 2006미국임상종양학회 핫 이슈 ‘다중표적항암제’
다국적 제약회사인 화이자의 ‘수텐트’(한국 제품명 수텐)가 최대 관심사였다.
화이자에서 항암제로는 처음 개발한 수텐트는 암세포의 영양 보급로인 혈관을 차단하면서 암세포도 동시에 공격하는 다중표적항암제다.
수텐트는 올해 1월 미국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인 글리벡으로 치료에 실패한 위장관기저종양 환자와 그동안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었던 진행성 신세포암(일명 진행성 신장암) 치료에 사용 허가를 받았다.
메모리얼 슬론-케터링 암센터의 로버트 모처 박사는 전 세계 750명의 진행성 신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3상 연구에서 이 약의 무진행 생존기간(병의 진행을 억제하는 기간)을 기존 치료제 인터페론 알파가 6.2개월인 데 비해 11.8개월로 연장시켰다고 발표했다.
바이엘사의 ‘넥사바’와 와이어스사의 ‘템시로리무스’도 진행성 신세포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발표됐다.
넥사바는 이달 1일부터 국내에서도 신장암에 대해 희귀 의약품으로 지정받아 사용되고 있다.
서울대병원 종양내과 방영주 교수는 “신장암은 그동안 제대로 된 치료제가 없었다”며 “이번에 신약이 한꺼번에 발표돼 주목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 밖에 유방암 치료제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의 ‘라파티닙’이나 대장암 치료제인 머크의 ‘얼비툭스’도 다중표적항암제로 꼽힌다.
○ 다른 암까지 잡는다
이번에 발표된 항암제의 특징은 알려진 질환 외에 다른 질환에까지 적응증을 넓히고 있다는 것.
제약사들이 적응증을 넓히고 있는 이유는 암의 기전이 다른 암에서도 동일하게 작용되기 때문이다.
수텐트나 넥사바, 템시로리무스 등은 암 주변의 혈관 생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신장암, 폐암, 간암 등 혈관이 풍부한 거의 모든 암에 효과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수텐트와 넥사바는 비소세포폐암에도 효과를 보인 것으로 보고됐다.
한편 GSK가 경구용 유방암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라파티닙’은 신장세포암과 두경부암 치료제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발표됐다.
라파티닙은 세포 내에서 암세포 성장에 관여하는 효소(ErbB1, ErbB2)에 작용해 종양의 성장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들 효소는 신장세포암과 두경부암에도 많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다중표적항암제인 수텐트는 암 성장과 혈관 성장에 관여하는 수용체와 결합해 그 작용을 억제한다. 수용체들은 암세포와 혈관내피세포 표면에 있다. 사진 제공 한국화이자 |
'유방암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들이 불치병 환자 수명 재촉 (0) | 2006.06.28 |
---|---|
9가지를 피하면 암 극복할 수 있다 (0) | 2006.06.20 |
예쁜 가슴 (0) | 2006.06.11 |
유방암 환자의 바람직한 식생활 (0) | 2006.06.11 |
유방암 수술로 인한 부작용 (0) | 2006.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