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명 | 제10회 전국시각장애인도서관대회 “시각장애인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협력방안 모색 |
교육일자 | 2007년 5월 29일 |
기조 강연:한국도서관협회 하상완 회장
시각장애인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협력
2007년 4월 새 도서관법
1) 공공도서관에서 장애인도서관 서비스 일원화/도서관법 41조에 근거문화관광부
2) 지식정보격차해소/2008년 4월 예정인 장애인 차별금지법
미국의NLS와 같은 센터, 지역대표도서관, 공공도서관 상호협력에 의한 시너지 효과
주제발표1/전략적 제휴:일반도서관의 장애인 통합서비스에 관한 소고: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정책과:이영숙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타:일반도서관(공공, 학교, 대학등)들이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통합하여 서비스를 할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에서 필요한 각종조치를 취하기 위해 세워짐.
정통부 추진:장애인 정보 격차 해소-->정보기기 보급(정보수집,가공,지식화,재창조의 지식정보의 인프라구축이 없다면 정보격차해소는 요원함.)
공공도서관 외면-->시민단체와 시각장애인단체역할수행-->장애물제거(시각장애인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전략적 제휴)
미의회가 1931년 미국국립도서관( Library of Congress) 전국의 맹인성인들이 읽을 수 있는 책을 제공할 수 있게 7만5천달러를 책정한 프랱트-스무트법 제정
1932년 미국국립도서관 최초로 전국의 18개지역도서관을 통해 맹인 3,225명, 50,190책을 보급함.
2007년 5월 22일 가칭“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타”의 기능 도서관법 제45조 2항에 명시
서비스기준 및 지침제정, 대체자료(녹음,점자,확대,수화동영상/자막자료 등), 컴퓨터보조기기 지원, 직원연수 등의 일을 권역별, 관종별로 지역센터를 지정하여 지원할 예정임.
1. 시각장애인도서관간의 전략적 제휴(제휴/아웃소싱)
*자료의 제작과 이용을 분리시켜 점자도서관과 일반도서관의 역할 분담이 있어야 한다.
*통합서비스 사례:스칸디나비아, 미국 등은 대체자료 제작과 이용을 분리하여 정부주도형임.
2006년 4월,6월 대체자료이용기관 장애인서비스 설문조사에 의하면 기관들의 대부분 예산 및 인원 부족과 장비의 노후화로 인해 점자,녹음도서 제작의 한계를 호소함.
(자료가 없는 곳에서 이용자 개발은 있을 수가 없다.)
현재 KOLIS-NET에 공공도서관 장서는 약 500만종, 17,900,000책
2003년 시각장애인 대체자료 종합목록DB건수 약 14만종(이중 중복도서도 포함)
정안인 대비 3%에 못 미치는 실정임.
기관간의 협력->자료생산의 차별화, 전문화/문학위주 책에서 다양한 분야 대체자료 생산
선진국은 장애인 정책을 지원에서 교육 및 재활로 전환--> 수혜자/납세자로 전환
주제발표2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사서의 활성화 방안의 모색:나사렛대 이완우
2007년 나사렛대학 점자문헌정보학과 개설
1)독립형도서관:운영형대 독립적,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
2)복지관부설도서관:운영사업의 한 프로그램으로 운영
3)디지털도서관:ARS,인터넷도서관 규모, 시설, 서비스 기능에 있어 한계성을 가짐.
1.한국
1) 시각장애인도서관:공립 4개관, 사립 6개관 대도시 중심
2)내용면:참신성, 독자성 결여
발전방향1993년 송순임/대도시 편중, 특수도서관 시설 부족, 인적자원 부족을 지적/각 시도별 독립적 점자도서관 건립과 주제별점자도서관 운영과 더불어 도서관 네트워크와 종합목록 구축, 충분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적자원의 보강이 있어야 한다.
1979년 2월 한국점자도서관 1호 최초의 점자도서관
1981년 5월 대구대 부설 점자도서관
1982년 9월 가톨릭맹인선교회 부설 녹음도서관
1983년 9월 부산맹인도서관
1983년10월 한국시각장애자복지회 부설 점자도서관 /1987년 설진화논문
총 39개소중 독립형도서관:8개/디지탈도서관:2개/나머지 복지관부설도서관과 점자도서실임
시각장애인수는 2007년 3월 보건복지부 등록 209,961명/2005년실태조사 250,000여명
2. 각국 비교
1)도서관 설치기준: 한국은 사서규정뿐 일본은 장서최소 7,000권이상, 미국은 네트워크가 구축으로 장서소장 의미없음, 인적자원 2,500명에 7명/각 1명 기관장, 사서, 독서지도원,전문보조원, 기술보조원) 142평이상 시설 규정있음.
미국 | 일본 | 한국 | |
시각장애인 수 | 1천만명 | 30만명 | 18만 4천명 |
독서장애인 수 | 4천4백명 | 통계없음 | 노인만:4백3십만명 |
국가종합목록구축여부 | 있음 | 있음 | 있음 |
사례발표1/
점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방안:한국점자도서관 자료관리팀장 차지수
1. 점자도서, 녹음도서
녹음도서 | 장점 | 단점 |
DAISY | 1997년 한국점자도서관 최초도입 40개국이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용 유니버셜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이미지,동영상,TEXT,점자파일 등 포함 휴대 간편/시각장애인 전용 포맷으로 저작권에 저촉되지 않음/해외자료 접근이 용이함 | 타방식과 호환이 어려움. 데이지전용재생기기가 필요함 |
MP3 | 일반인(화일 형식, 기기면)과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음. | 저작권법에 저촉이 됨. |
2. 이용자서비스
1)찾아가는 도서관:직접 배달 및 도서관에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 시킴.
2)도서 및 평생교육프로그램/시각장애인컴퓨터교육,점자교육,스포츠,화면해설영화,음악감상,문화유적지여행,어학강좌
3.해외의 점자도서관
미국 | 일본 | 스웨덴 | |
개설과 발전현황 | 1968년 보스톤공공도서관 대출봉사 시작 1978년 시각장애인 및 신체장애인을 위한 국립도서관서비스(NLS) | 1919년 니이가타현립도서관 맹인관람실개설 | 1982년 맹인점자협회에 의해 점자도서관 설립 1980년 맹인협회도서관을 국가가 이관하여 국립녹음점자도서관(TPB)설립 97%국가에서예산지원을 받음 |
도서 서비스방법 | 네트워크를 통한 2개소중앙관리센터/테입보관,테입복사,기기보관,대여,복본보관, 각 네트워크의 서고의 기능담당 NLS는 주된자료는 일반도서이고 주립,시립공공도서관 소속임 | 일본점자도서관과 라이트하우스문화정보센터연계 <나이브 넷> 점자,녹음도서 검색,다운로드제공,중복제작 방지,디지털토킹북 온라이서비스 서버설치 | TPB연구개발사업DAISY 디지털토킹북개발 1998년 녹음도서 57,930종 |
매체 | 전문서적 녹음,점자도서는 RFB&D의 민간단체에서 제작, 보급하고 있음. 1999년 전자점자도서시작 2,600개자료를 올림 2001년 전자점자잡지올림 | 2,500종 테이프를 데이지방식으로 제작 공공도서관에 무상배포--정부지원 | 1986년 시각장애인서비스 네트워크 설립 공공도서관에서 대출서비스 24개주/286개도서관/택배,이동도서 서비스 |
도서구입 방법 | - | 정부보조로일반도서과 같은 점자도서로 구매가능 국립국회도서관-학술녹음도서 위탁제작 | 정부보조금으로 인해 일반서가격으로구매, 시중 서점에서 점자도서구입가능 |
4. 점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 방안
자료협력-->종합목록 구축-->독서 및 평생교육 통합프로그램-->전문인력 양성
사례발표2/복지관도서관의역할 및 사례발표:손종명
2000년 21,083명정점 녹음도서의 감소추세--E도서(Text)와 시각장애인 환경의 변화
1)온라인도서관:2004년1월 오픈 일일접속 :1,200명
2)ARS도서관:일일 200~300명, 일일 평균이용시간 130~200시간
3)온라인도서관과 ARS도서관 이용율 증가 예측, 오프라인도서관의 카세트녹음도서의공급
사례발표3/www.library.kr/경기도사이버중앙도서관/4대서비스:유남권
1)경기도내 장애인서비스 도서관:53개/택배대출:25개/홈피:2개낭독서비스:0
2)집에서책을 받아보는 두루두루서비스:15개 33개관운영(택배비 도에서 지원)
3)홈페이지이용나들머리서비스:F12키
4)소리로 듣는 책“소리세상”서비스: 3,000권/교보문고를 통한 전자책구매(권당 오천원)
5)소리로 듣는 신문 동네방네서비스:신문을 읽어주는 기능
해외사례발표
도서관 서비스의 신 장애 해소법/전국시각장애인정보제공시설협회 이와이 카즈히코
1)자료제공:점역, 음역, 자료 대출, 대면낭독, 개인참고봉사, 편지,서류읽기, 쓰기 생활지원
2)시각장애인의 사회참여 증가, 여가시간의 증대 스타일의 다양화, 교류의장, 문화활동 등
3)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시민단체 온라인 전송 배포에 대해서는 저작권자의 승낙이 필요
2006년 4월 “시각장애인자립지원법”시행
*분과토의
1.점자도서관 그룹: 제작의 표준화/중복제작 금지(네트워크 형성)/공공도서관과 협력구축
점자도서의 특화 지역적 전문화 위원회 검증(도서 질의 검증) 필요/과연 당사자 욕구에 부합한 도서이냐? 여부
2. 복지관소속 점자도서관 그룹:공통 “소리”
디지털도서관 운영-맹복:소리도서관/한시회:소리책/실로암:/하상:온소리
3. 공공도서관 그룹
서비스 전문화,녹음, 점자 제작 준비 되어 있지 않음. 따라서 도서 제작과 서비스 제공의 분리가 좋을 듯하다.
*종합 토의 내용
앞으로- 공공도서관과의 협력을 위한 간담회를 정기적 마련하여 대화와 토론
'새임방공지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 美, 중서부 대학책 1000만권 디지털화 (0) | 2007.06.11 |
---|---|
생일축하 그림 (0) | 2007.06.04 |
직장 다녀도 월급 못 받는 그녀의 사연 (0) | 2007.05.28 |
시각장애인들 장애인용 SW개발 (0) | 2007.05.28 |
뇌성마비 (0) | 2007.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