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상식

온라인 게임업계 합종연횡하나?

온라인 게임업계 합종연횡하나?
NHN, 웹젠 인수說…넥슨ㆍ네오위즈도 M&A관심

'협력(collaboration)만으론 안 된다. 작으면 먹힌다. 살 길은 모두 먹어치우기(eat all)뿐이다.'

온라인 게임업계에 인수ㆍ합병(M&A) 회오리가 일고 있다.

올해 들어 한빛소프트가 오디션 개발사인 T3엔터테인먼트에 인수된 데 이어 최근에는 웹젠NHN에 인수된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웹젠NHN이 모두 부인하면서 진정국면에 접어들었지만 웹젠은 언제든 M&A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 게임업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NHN이나 넥슨, 네오위즈, CJ인터넷 등 선두권 업체들도 금액만 맞으면 언제든지 M&A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 제휴에서 M&A로 돌변

= 전문가들은 게임업계의 M&A만큼 위험한 일은 없다고 입을 모은다. 게임회사의 중요 자산은 크게 지적재산권과 유통망, 개발인력 등을 꼽을 수 있다. 이 중에서 앞으로 성장성을 담보할 수 있는 개발인력은 회사를 인수하더라도 인수한 업체의 경영진과 마음이 맞지 않으면 빠져나갈 가능성이 크다.

특히 이들은 회사를 옮길 때 개인적으로 옮기기보다는 한 팀이 단체로 이탈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이 때문에 상당한 금액을 들여 인수한 업체가 빈껍데기가 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 게임업체들은 인수보다는 제휴를 더 선호해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게임산업 경영환경이 나빠지면서 M&A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이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미 국내 시장은 포화 단계에 이르렀고 세계 시장에서도 막강한 자본력을 앞세운 미국 일본 중국 업체들과 경쟁을 벌여야 하는 상황이다.

◆ 구조개편 신호탄

= M&A 양상도 변할 것으로 보인다. 이전에는 게임을 서비스하는 퍼블리셔가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확보하기 위해 개발사를 인수해 스튜디오로 편입하는 형태가 일반적이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개발사가 퍼블리셔를 인수해 사업 확대에 나서고 있다.

T3가 한빛소프트를 인수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T3는 한빛소프트를 인수해 한빛소프트가 구축한 국내 영업망은 물론 해외 판로까지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자체적으로 유통망을 구축하고 해외 직접 판로 개척에 나서는 동안 겪게 될 시행착오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 것.

이 과정에서 한빛소프트와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했던 중국 게임업체 더나인과도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게 되는 부수효과도 거뒀다.

이 때문에 T3의 한빛소프트 인수는 게임업계 구조조정의 신호탄이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특히 오디션으로 대박을 터트린 T3와 비슷하게 스페셜포스를 성공시킨 드래곤플라이와 서든어택을 앞세운 게임하이 등도 언제든지 M&A를 시도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여기에 SK텔레콤 등 콘텐츠 산업 강화에 나선 통신 대기업들까지 가세할 경우 온라인 게임업체는 몇 년 안에 전혀 다른 구도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 머니게임 격전장?

= 하지만 최근 일어나고 있는 게임업계의 M&A가 머니게임 양상을 보여 염려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온라인 게임업체는 일부 기업을 제외하면 인수하는 비용이 수백억 원대라는 점에서 비교적 돈이 적게 드는 M&A로 꼽힌다.

게다가 최근 게임업계 주가 역시 하향 재평가되고 있는 분위기다. 1년 전과 비교해도 주식 시세가 절반 가까이 떨어진 업체들이 수두룩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게임업체의 M&A설은 시장에 좋은 재료가 된다.

중견 게임업체의 한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현재 게임업계에 M&A설이 나돌고 있는 기업만 해도 4~5개 업체나 된다"며 "시장에는 항상 소문이 있었지만 과열되는 양상인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최광 기자]

728x90